[소득예외 기준]
기준 중위소득 140% ~ 170% | 소득기준 없음 |
---|---|
~ 140%: 노인·장애인 분야 사업, 기타 분야 사업, 아동·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, 청소년 어울림한마당 ~ 170%: 보완대체 의사소통기기 활용 중재서비스 |
장애인 보조기기 렌탈서비스, 장애가정지원서비스, 치매가족 심신 재충전서비스, 성인 발달장애인 통합지원 서비스 |
[2021년 기준 중위소득]
가구원 수 | 1인 | 2인 | 3인 | 4인 | 5인 |
---|---|---|---|---|---|
기준 중위소득 120% | 2,193 | 3,706 | 4,781 | 5,852 | 6,909 |
기준 중위소득 140% | 2,559 | 4,323 | 5,578 | 6,827 | 8,060 |
기준 중위소득 170% | 3,107 | 5,250 | 6,773 | 8,290 | 9,788 |
구분 | 주체 |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신청 및 접수 동(행정복지센터) |
본인・부모 또는 그 밖의 관계인, 담당 공무원 |
신청서 및 이용자 유의사항 안내 동의서 등 작성 제출 |
- 1인당 연간 1개 서비스 이용 가능 · 유사서비스 중복 이용 불가 |
상담 및 욕구조사 동(행정복지센터) |
담당 공무원 | 신청가구의 여건, 이용자 선정 요건 부합 여부 등 확인 |
- 소득, 연령, 가구원 조사 - 사업별 일반 요건 확인(증빙서류 업로드) |
소득 조사 (해당 구) |
담당 공무원 | 행복e음을 통한 선정 - 예산 상황 등 우선 순위를 감안하여 선정 |
- 부적합의 경우 그 사유를 명시 |
이용자 선정 (해당 구) |
담당 공무원 | 사회보장정보원에 선정결과 전송 (매월 27일 18:00까지) 대기자 관리 - 선정요건에는 부합하나 예산부족에 따른 대상제외자 |
- 예산 상황을 감안 우선순위에 따라 직권으로 재신청 가능 |
통지 (해당 구, 동 주민센터) |
담당 공무원 | 신청자에 선정결과 통지 |
동구 사회복지과 042)251-4485 | 유성구 사회돌봄과 042)611-2391 |
중구 사회복지과 042)606-7133 | 대덕구 복지정책과 042)608-6745 |
서구 사회복지과 042)288-3122 | 대전시 복지정책과 042)270-4624 |
사회서비스지원단 042)331-8921 |